검도는 10단까지 있을 수 있지만, 시험을 통해 올라갈 수 있는 실질적인 최고단은 8단이다. 일본에서 이 검도 8단 승단심사는 매년 두 차례 실시되는데 한 회 심사에 약 700명 이상이 응한다. 46세 이상, 7단 취득 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하는 이 시험의 합격률은 1%도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내용은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를 통해 국내에도 소개된 바 있다. 이 다큐멘터리의 내용이 무술인들에게 감동을 주는 것은 일흔이 넘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수련을 통해 검도 8단 승단심사에 도전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사실 그대로 묘사되어 있기 때문이다. 700명이 넘는 승단심사 인원 중에 100명 이상이 70세 이상이며 80세 이상도 10여 명이 참가하고 있다.
이 중에는 전국대회에서 우승한 경력을 가진 사람도 많다. 그러나 8단 승단심사에서 중요한 것은 상대와의 승부에서 이기고 지느냐가 아니라 검도의 기술을 통해 표현되는 정신수양의 정도라는 점. 이 시험의 어려움은 바로 여기에 있다. 기술(技, technic)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방식(道, way of life)을 보는 것이다.
스포츠와 무도가 다르다고 할 때, 그 차이는 바로 이런데서 나타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머리가 희끗희끗한 노인들이 도복을 입고 수련하는 모습을 보면서 그 후배와 제자들이 어떤 생각을 할지는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80세의 8단인 선배와 78세의 7단인 후배가 대련을 하고, 그 대련에서 선배가 후배에게 “자네는 너무 서두른다”고 지적을 하며, 후배는 그 지적을 머리 숙여 받아들이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이 일본의 검도계다.
눈을 돌려 우리 태권도계를 보자. 70이 넘어 도복을 입고 땀을 흘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원로가 우리에게 있는가? 아마도 많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기자는 아직까지 한 사람도 보지 못했다. 기자의 게으름 탓일 것이다. 60을 넘어 도복을 입고 수련하는 원로도 많이 있다고 듣고 있지만, 역시 별로 본 기억이 없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의 경우에는, 특히 일본에서는 70, 80이 넘은 노인들이 젊은이들과 몸을 부딪치며 수련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심지어는 할머니들도 적지 않게 만날 수 있는 것이다. 무슨 무슨 ‘할머니 시범단’이 아니라, 젊은이들 틈에 끼여서 똑같이 수련하는 할머니들 말이다.
태권도가 무도라고 할 때, 그 본질은 평생 수련에 있다. 역설적으로 협회나 단체가 어떻게 돌아가거나 말거나, 자신이 사랑하는 태권도를 말없이 수련하는 사람들이 진정한 태권도인이라는 당연한 말이 새삼스럽게 강조되는 것이다. 요즈음의 태권도 고단자 심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조만간 취재를 한번 가봐야겠다. (끝)
'박성진의 무림통신 > 박기자의 태권도와 타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과 인연이 깊은 대동류 합기유술 (3) | 2009.05.23 |
---|---|
和(화)의 武道(무도), 아이키도 (3) | 2009.05.19 |
뛰어난 기술에 비해 통합되지 못해 발전 더딘 합기도 (5) | 2009.05.13 |
무사도(武士道)를 상징하는 일본의 검술 (2) | 2009.05.11 |
사법고시보다 더 어렵다는 검도8단 승단시험 (8) | 2009.05.05 |
주짓수는 어떻게 세계 최강의 무술이 되었나 (152) | 2009.05.0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8단 딸려면 시간이야 오래걸리겠지만, 설마하니 사법고시보다 어려울라공?
2009.05.05 12:13 신고진짜 제가 하고 싶은 말을 하셨네요...
2009.05.10 07:57 신고뿌리자체가 부실하니 위에서는 비리가 판치고... 아래에서는 생존에 쫓겨 동네 장사치로 전락하고... 정작 무도인이 가져야할 정신은 물건너 간 느낌...
참고하세요
2009.05.10 09:23 신고역학으로 본 우리 경제의 나아갈 방향
이건희.이재용 부자를 통해 본 삼성그룹
탈렌트 노현희와 아나운서 신동진의 궁합 실례
새롭게 떠오르는 골프여제 신지애
역학으로 본 직업선택의 중요성
구본무 회장을 통해 본 LG그룹
역학으로 본 자녀의 적성과 학운
사주의 격과 지기의 의미
http://cafe.naver.com/fortunedrkss1102
단순한 노력만으로 따려고 한다면, 사법고시가 더 어려울 수도 있겠죠...
2009.05.10 09:29 신고하지만, 그냥 한 순간에 이루어지는 사법고시 합격보다. 삶에 대한 전반적인 자세, 그리고 그것을 무술로 펼쳐보내는 경지에 이르기는 어쩌면 사법고시보다 훨씬 어려울 것 같네요...
잘 봤습니다.
고시 공부 해보세요. 한 순간?ㅋㅋㅋ
2009.05.13 09:18 신고이 문서를 공유 주셔서 감사합니다
2011.10.03 16:47 신고이 문서를 공유 주셔서 감사합니다
2011.10.03 16:48 신고난 다음주에 프리젠 테이션을, 그리고 그러한 정보에 대한 모습에입니다.
2013.06.04 17:06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