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성원의 궤변독설 - 태권도 단상]
'한 식구'라 믿었던 사람들, 의리(義理)와 이리(利理) 사이서 불협화음
"배신은 심리적 퍽치기" 눈 앞의 이익 때문에 신의와 윤리 쉽게 저버려
요즘 태권도 제도권 안팎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행태를 생각하면 '처용가'가 떠오른다.
서울 밝은 달에 밤 깊도록 노닐다가 / 들어와서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구나 / 둘은 내 것이지만 둘은 누구의 것인고 / 본래 내 것이지만 빼앗긴 것을 어찌하겠는가
신라시대의 처용가이다. 처용은 다른 남자와 정사를 벌이고 있는 아내의 배신에 화가 치밀었지만 '빼앗긴 것을 어찌하겠는가' 라며 자신을 탓한다. 하지만 처용처럼 외도한 아내를 용서할 수 있을까? 대부분의 남자는 아내의 배신(변절)에 치를 떨며 현장에서 작살냈을 것이다.
경우는 좀 다르지만, 태권도계에도 우정과 신의를 저버린 배신과 배반이 횡행하고 있다. 원칙과 명분이 없는 이합집산과 철새 태권도인들의 등장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눈 앞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상식과 염치, 그리고 그 동안 유지해온 신의마저 저버리는 태권도인들을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요즘 대학태권도연맹과 중고태권도연맹 등 태권도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행태는 '한 식구' 라고 믿었던 사람들이 의리(義理)와 이리(利理) 사이에서 불협화음을 내고 있는 것과 같다.
현실이 이렇다 보니 "네가 나한테 이럴 수 있어" , "믿을 사람 하나 없다" , "토사구팽을 당했다"라는 말이 떠돌고 있다. 선거 후 정치적으로 팽(烹)을 당했다는 사람들은 치를 떨고 있다.
단순한 현상만 가지고 누가 신의를 저버리고 배신을 했는지 진위(眞僞)와 선악(善惡)을 판단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누가 순간의 탐욕으로 신의를 저버렸는지 알 수 있다.
도덕(道德)에는 법이라는 공식적 규범 이외에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신의(信義)라는 비공식적 규범도 있다. 신의는 법과 함께 사회 운영의 기초다. 신의를 헌신짝처럼 내던지고 영달을 추구한 사람은 훗날 자신도 배신을 당한다는 속설을 간과해선 안 된다.
언론인 정영무 씨는 "사람의 등은 무방비 상태다. 등을 치거나 찌르는 배신은 '심리적 퍽치기' 라고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더 이상 '심리적 퍽치기'를 당하는 태권도인이 없었으면 좋겠다.
[by 서성원의 태권도와 길동무하다 - 퀘변독설]
[태권도와 마샬아츠의 오아시스 - 태마시스 ㅣ www.taemasis.com]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아..그렇군요..;;태권도라..어렸을때~ 아주 잠깐..배웠는데 말이죠^^;;
2010.01.28 06:27 신고테마시스님~ 오늘도 파이팅입니다^^/
아~ 태권도를 배우셨군요. 계속 하시질 그러셨어요!! 지금도 늦지 않았습니다. ^^ 늘 좋은 격려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태마시스-
2010.01.28 07:57 신고태권도계 안쪽에 썩어 있는 부위를 보면 정말 구역질나죠..
2010.01.28 07:45 신고행복하고 건강한 하루되세요 ^^
언젠가는 나이질 거란 희망은 잃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그런 날이 빨리 오길 바랄 뿐입니다. 님들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태마시스-
2010.01.28 07:56 신고국기원, 국기원장, 국사연, 문화체육관광부, 서성
2012.11.07 14:41 신고